3경 - 산
보성군은 북쪽을 정점으로 하고 있는 삼각형의 모습이다. 이 삼각형의 정점에서 보면 강원도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의 두 지맥이 팔자(八字)모양으로 팔을 벌리고, 그 팔 안에 보성군이 자리한다.서측지면은 제암산(807m)을 정점으로 평균500m 이상의 높은 산맥을 형성하고 동측지면은 존제산(704m)을 정점으로 평균400m이상의 산맥을 형성한다. 이 동측산맥은 고흥반도를 향해 달리고 있는데 벌교읍은 이 주 능선의 동쪽에 해당한다.
삼각형의 서편에 해당하는 남쪽에도 동서방향의 해안산지가 달리고 있어 북류하는 보성강유역과 남해안으로 남류하여 흘러드는 많은 하천들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 이 해안 산맥도 평균 400m 정도의 뚜렷한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임금 "帝"자의 3산 : 제암산(帝岩山), 존제산(尊帝山), 제석산(帝釋山)
3경 - 호수
보성강 유역의 면적은 보성군 전체면적의 59%정도로서 보성군의 삶에 풍요와 멋을 더해주는 보성의 어머니는 분명 보성강(寶城江)이다. 나일강은 이집트보다 유명하고 중국의 문화는 황하로 대변되며 독일은 라인강이, 미시시피강은 미국의 젖줄이며 갠지스강은 인도 바로 그것이다. 보성강은 섬진강의 3지류중 하나이며, 섬진강은 보성강, 요천강(남원), 적성강(순창) 3지류를 거느린다.
보성강은 그 발원지가 일림산(664m)북쪽계곡인 용추계곡이며 서남쪽 발원지는 대산리의 서쪽계곡인 장내골이다. 보성강은 발원지에 북으로 유로를 잡으면서 120km를 흐르다가 압록에서 섬진강 본류와 합하여 유로를 남으로 바꾸면서 남해로 흘러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보성강댐과 주암댐 호수를 개발 전력생산과 상수원 공급, 농업용수 공급 등으로 활용된다.
3경 - 바다
보성군의 해양자원으로는 벌교읍, 조성면, 득량면 및 회천면 등에 접해있는 해안선의 길이가 105.7km에 달하고 이곳 바다에는 다양한 수산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수심이 깊지않은 청정해역에서는 각종 조개류가 양식 또는 자연서식하고 있다. 이 해역에서 잡히고 있는 어류는 전어,숭어,서대,양태,낙지,쭈꾸미,멸치,짱뚱어 등이 대부분이며 조개류는 피조개, 꼬막, 새고막, 맛, 바지락 등이 양식되어지고 있고 자연산은 새조개와 키조개가 있다.
3보향 - 의향
우리 보성군은 예로부터 나라가 어지러울 때 나라를 위해 충절을 다 바치신 충의열사를 많이 배출한 고장으로서 의향(義鄕)이라 한다.
3보향 - 예향
보성의 자랑인 서편제 비조(鼻祖) 박유전 선생님과 보성소리의 창제자인 정응민 선생님의 예술혼과 채동선 선생님의 민족음악 등이 살아 숨쉬는 고장으로서의 예향(藝鄕)이라 한다.
- 서편제판소리 : 박유전→정재근→정응민→정권진·조상현
- 현대음악 : 채동선
- 서예 : 송운회, 허소, 안규동
- 한국화 : 이희순, 이범재
- 서양화 : 양수아
3보향 - 다향
보성의 특산물인 차는 서기 5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차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우리나라 최대의 차 주산지이자 차문화의 본고장으로서 자리매김을 한 다향(茶鄕)으로서 우리 지역에서 생산된 녹차는 그 맛과 향과 색이 뛰어난 전국에서 제일가는 양질의 녹차로 인정받고 있다. - 국내 최대의 차재배 생산지로서 매년 다향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