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차! 우리차의 원형(原形)!
잎차보다 말차를 마셨다.
고려시대는 우리나라 차 문화의 황금기이다. 왕으로부터 평범한 백성에 이르기까지 차를 즐겨 마셔 항다반사(恒茶飯事)라는 관용어까지 만들어졌다. 고려사람들은 어떤차를 마셨을까? 흔히 녹차라 불리는 잎차를 우리 전통 차라고 알고 있지만 고려사람들이 마시던 차는 뜻밖에도 말차였다. 고려뿐만이 아니다. 송나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말차를 마셨다. 1,000여 년 전 동아시아에서 말차를 마시는 방법인 점다법(點茶法)은 그 시대 차문화의 표준이었다.
임금이 직접 차를 갈아 말차를 만들다.
우리나라 차문화의 황금기였던 고려시대에는 나라의 큰일에 임금께 술과 과일을 올리기 전 반드시 차를 먼저 내는 진다(進茶)의식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왕이 직접 차를 맷돌에 갈아 팽다(烹茶)를 행하기도 했다. 982년 최승노가 성종에게 올린 시무28조의 두 번째 항에는'왕이 직접 차를 맷돌에 가는데 이런 폐단은 광종때부터 시작되었다'는 구절이 있다
말차는 어떻게 만드나?
임금이 직접 갈아 마셨다는 말차는 찻잎을 갈아 뜨거운 물에 휘져어 마시는 음차법의 특성상 유기농재배를 합니다.
말차는 우리가 흔히 전차(煎茶)라고 부르는 불발효차인 녹차로 만든다. 일본의 녹차는 우리나라와 달리 덖지 않고 쪄서 만드는 데 유념하지 않고 건조시킨 후 찻잎의 잎맥 등을 제거한 다음 맷돌로 간 것이 말차다. 말차는 찻잎을 갈아 뜨거운 물에 휘저어 마시는 음차법의 특성상 유기농재배를 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찻잎을 따기 약 20여일 전부터 짚·멍석 등으로 빛을 차단하여 옥로(玉露, 교쿠로), 전차(煎茶) 등의 고급차를 생산한다. 차광재배를 통하여 떫은 맛을 내는 차의 탄닌 성분을 줄이고 섬유소를 부드럽게 만든다. 차의 단맛은 아미노산인 테아닌(theanine) 함량과 관계가 깊은데 질소를 많이 쓰면 단맛이 증가한다. 질이 좋은 차는 옥로로 만든다. 말차는 다시 농차(濃茶)와 박차(薄茶)로 나뉜다. 농차는 전차 중에서도 질이 좋은 것을 골라 사용하는데 특별한 의식에 주로 사용하고 박차는 일상적으로 음용하는데 쓰인다.
말차의 효능과 용도
말차의 효능
말차의 효능은 녹차의 효능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와 달리 말차는 찻잎의 유익한 성분을 100% 섭취할 수 있다는데 이점이 있다. 시이섬유, 베타카로틴, 비타민 E등 물에 녹지 않는 영양소를 있는 그대로 섭취할 수 있다. 녹차에는 카페인과 타닌계 물질인 카테킨(catechin), 고등식물 중 차에서만 발견되는 테아닌을 비롯한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리신, 트레오닌 등의 아미노산과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토코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어 생리작용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차 속에 함유된 무기성분 중 50%가 칼륨, 15%가 인산이고, 나머지는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나트륨 등이다. 차의 성분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심장병과 고혈압의 예방 ·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이뇨작용을 통해 체내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배설시켜주고, 타닌 성분으로 인한 살균효과가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녹차에 항암 및 소염 작용을 하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말차의 용도
말차는 잎차와 달리 마시는 방법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말차는 뛰어난 빛깔과 향으로 인해 일찍부터 일본과 서양에서는 식품의 식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말차는 소스와 아이스크림의 재료로 쓰이며 샐러드에도 첨가한다. 웰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부터는 우리나라에서도 제과, 제빵, 떡, 소금, 라떼, 국수, 수제비, 초콜릿, 녹차밥, 각종음료(식혜, 동동주 등)에 첨가 되고 있다. 강한 탈취효과로 생선이나 육류의 비린내를 없앨 수도 있다. 말차는 가루라는 물성(物性)으로 식품의 첨가물로 적당하며 독특한 색과 향은 무궁무진한 쓰임새를 기다리고 있다.
말차와 도구
기본도구
- 다완(찻사발) : 청자(靑瓷), 분청사기(粉靑沙器), 천목(天目 )등 다양한 한 형태의 찻사발이 있다.
- 찻숟가락 : 은, 나무, 대나무 등으로 만드는데 이즈음은 대나무로 만든 것이 주종이다.
- 차선 : 대나무를 잘게 쪼개 만든다. 100선과 120선 두 종류가 주종이다.
- 차수건 : 무명천으로 만든 것이 주종이다.
기타도구
다완(찻사발) : 청자(靑瓷), 분청사기(粉靑沙器), 천목(天目 )등 다양한 한 형태의 찻사발이 있다.
말차점다법
1.다완에 가루를 떠서 넣는다.
2.위아래로 젓는다.
3.유화가 고르게 되로록 뺍니다.
- 다완(차사발)에 100℃의 끓인 물을 부어 예열한뒤 차선을 옆, 아래로 물을 적셔 부드럽게 합니다.
- 2g정도의 가루를 떠서 다완(차사발)에 넣고 100℃ 끓인 물을 500cc(찻잔한잔)을 붓습니다.
- 왼손으로 다완을 누르듯 감싸고 오른손으로 차선을 들고 유화(차거품)가 잘 일도록 위에서 아래로 젓습니다.
- 차선을 다완에서 수평으로 잠시 멈춰 유화가 고르게 되도록 한 뒤 뺍니다.
보성의 말차
보성의 말차는 현재 보성읍 쾌상리에 위치한 2만여평의 다원에서 2005년부터 신품종 묘목을 식재하고 2010년부터 말차를 본격 생산하고 있다.